디스크내장증

디스크 내부의 병증으로 인해 디스크가 손상되어 통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디스크내장증은 허리디스크 질환과달리 디스크 수핵이 탈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크의 내부가 변성되거나 섬유륜이 손상되어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디스크 내장증이란?

추간판 내장증은 해부학적 외형을 변형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의 변형을 보이면서 요통을 유발 하는 추 간판의 병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단순 방사선 사진상 디스크 공간이 좁아져 있거 나 주위에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나 MRI검사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디스크가 튀어 나와 신경을 누르는 등의 심한 소견이 잘 관찰되지 않아 진단을 내리기 무척 까다로운 질환 입니다. 만성 요통 환자의 약 40%에 서 추간판 내장증일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확실 한 진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진 단이 어렵습니다.따라서 환자의 임상 증상이 매우 중 요하며, 자기공명영상과 추간판 조영술을 시행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합니다.

• 증상

반드시 통증이 있는 것은 아니고 30%는 통증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걸을 때는 증상이 없으나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통증이 나타납니다.
  • 양말을 신을 때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 허리디스크는 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있지만 디스크내장증은누워서 다리를 올렸을 때 무리 없이 잘 올라갑니다.

• 발생 원인

정상적인 디스크는 수분이 약 80%를 차지합니다. 디스크의 수분이 60%이하로 떨어지면 탄성이 떨어져, 허리 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거나 자세가 안 좋아지게 되므로 디스크가 변성되기 쉽습니다. 또한, 교통사 고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척추를 지지하는 디스크가 손상되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주로 젊은 층에서 많 이 나타납니다.

• 치료법

진단방법

X-ray, CT, MRI, 디스크 조영술로 진단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인공디스크 급성기에는 행동 양식의 변화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 운동 요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보존적 요법은 4-6개월간 시행될 수 있 습니다. 수술적 요법으로는 단순한 추간판의 감압술은 대부분 증상 완화에 실패하므로 후측방 유합술이나 추체간 유합술 등의 수술적 방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기도 하며, 인공디 스크 삽입술로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